목록개발자 학습노트 (46)
개발자의 logs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pQanU/btrIyYGeibw/a4NciRl1nWZ6Zmy4LDj9Ek/img.png)
(살려줘....) 12주차 WIL ! 항해99 시작할 때 쯤에 절대 포기는 안할건 알고 있었지만, 거의 다 와감을 느낀다.ㅎㅎ 이번주는 지난주에 이어서 TDD를 마무리하고, 인프라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사실 인프라 part는 틈새틈새 했었다. 그때마다 좌절을 맛봤고.. 난 알고리즘을 짜는거나, 코딩을 무진장 잘한다고는 생각을 안하고 있던 사람인데, 인프라파트를 하면서 난 인프라보단 코딩쪽을 훨씬 잘하구나를 매순간 느꼈다. 인프라에는 1. Git Action 2. Docker 3. Nginx 라는 삼대장들이 있다. 물론 더 나아간다면 Git Action보다는 Jenkins를 쓰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참고로 travi라는 것도 있다. 난 처음엔 Git Action을 활용해서 자동배포까지 하려고 했다. 즉..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Mlva/btrH75xkMRG/6l8gkKRkPbGUF7Qzr26O0K/img.jpg)
좋은아침! 이제 11주차 WIL이다 . 생각보다 항해99에서 WIL을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느끼게 된다 실전프로젝트 상황에 대해 얘기하자면, 이번주 금요일이 프로덕트 출시날인데 아직 출시한 조는 없는 걸로 알고있다. 역시 완제품을 만들기란 생각보다 어려운게 아닐까 생각이 든다 ㅎㅎ 일당백 1조는 여전히 스스로를 불태워 속도를 내고있다. 잡담시간도 우리에게는 사치! 백엔드 2명(나포함) 프론트가 요청하는 추가적인 기능개발을 하면서 리팩토링, 주석달기를 진행했었다. 현재는 TDD 파트에 들어와있다. TDD는 통합테스트만 완료한 상태였었다. 그리고 사실 전 기수들것들을 보니 TDD에 생각보다 집중하지 않은 것처럼 보여서 넣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 담당 매니저 *구름*님의 조언..
1. 밸리데이션 탄탄히하기 2. 예외처리 단단히 하기 3. 멀터 다중이미지, 다중이미지 삭제하기, 단일 이미지 삭제하기 기능 개발 4. 주석 열심히 달기 5. 부하테스트 하기, 로드밸런싱하기 6. TDD (유닛,통합) 작성하기 겉으로 번드러지는 것 보다 탄탄하게, 단단하게 ! 오늘도 열심히 살았다.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S24XZ/btrHpPcg0ZX/7J0e3SVbvkdK6f8nvSA0fk/img.jpg)
두번째 멤버가 하차했다 사유는 역시 진로문제. 현재 우리조는 인력부족 문제를 실감하고 있다. 좋은 아이디어가 아무리 많고, 좋은 기획이 나온다해도 실현할 사람과, 노동력이 없는 상황이다. 매일매일 하나씩 덜어내고, 지우고, 비지니스와 작품과 타협하고 있다. 아무래도 완성이 제일 첫 1순위니까. 마음은 어렵지만 난 지금 내가 어떤 상황인지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와 우리팀의 상황을 매 순간 확인하고 체크해야한다. 가끔 7명, 8명이 모여있는 조를 보면 솔직히 부럽다. 하지만 늘 그랫듯이 난 불리한 경쟁에서 살아남아왔다. 역시 최선을 다해서 후회를 남기지말자 .. ! 끝까지 포기하지않고 완성해내겠다. 일당백 1조 !!! 모두가 임시정부체제로 간다!! 아자! 언제나 그렇듯 변명은 없다 이번주는 MVP 발표가 있..
실전 팀작업을 하던 중 multer를 이용해서 s3에 사진을 업로드해야했다. 프론트에게 물어보니, 파이어베이스로 프론트 쪽에서 하던 것을 백엔드가 이미지를 알아서 처리해주니 한결 편하다고 한다. 각설하고 소스코드를 우선 공개한다. 블로그나 구글링을 하다보면 코드를 중간중간 . . . 처리를 한다거나 삭제 및 숨김을 해서 붙여넣기하면 온전히 코드가 돌아가기 힘든데, 난 그런 부분들이 오히려 다른사람들의 개발에 어려움을 주는 것 같아 때문에 파일 전체를 올린다. 아래는 게시물 관련 api routes 파일이다. 즉, posts.js const dotenv = require('dotenv').config();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router = expre..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JQPC/btrG8JiaGOl/yvxtFCEnazNI7LFzAUKeK0/img.png)
얼마전부터 면접 스터디그룹을 만들어서 cs 공부를 하고있다 참가인원은 5명!! (나포함) 발표순서를 정하고 면접처럼 발표를 하는데, 매번 사다리타기를 했고 어느날부턴 하기 귀찮았다. 그래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유단순) 알고리즘을 설명하자면 0,5사이에서 랜덤으로 5명을 뽑고, 혹시라도 중복되면 리스트에 넣지않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cs 발표를 하는사람에게 면접 질문을 할 사람을 지정해줘야 하는데, 그사람은 내 다음 발표자다. 그래서 인덱스로 다음 발표자를 면접관으로 지정하는 알고리즘을 추가해줬다. 생각보다 간단하다 알다싶이 난 그렇게 알고리즘 고수는 아니다!!!하하.. 이 블로그 글을 봐주는 사람들의 유익함을 위해 소스코드를 공개한다! member = ['김하연', '하율찬', '정오현', '이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