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깃허브 (3)
개발자의 logs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qg94/btrJSXYV0fi/e0oxIf3g1q52NCTu50EN01/img.png)
마포구청을 돌아 운동하던 중 카톡이 왔다. ??:"하연아 업데이트 반영이 안돼" 나 :"헐 지금 돌아가서 확인해볼게" 돌아가면서 도커를 지울까 잠깐 생각했다. 배포 후에 오류가 뜬 경우가 너무 많아서.ㅋㅋ 돌아와서 에러를 확인해보니 못보던 에러다 보통 진행 중에 완료가 안되었을 때 err: ~~ 뜨긴한다. 하지만 insufficient permission error? ubuntu에 가서 확인해본다. 동기화하면서 (git pull) 뭔가 걸린거 같다. 바뀐 파일을 확인해보니 역시 되있지 않다. 에러글자 중에 permisson이란 글자가 들어왔다. 사실 지겹게 많이 본 문구 permission! 습관적으로 sudo를 붙이고 다시 해봤다. 결과는 해결.. ci-cd 파이프라인에 sudo git pull로 수정..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Eu5g/btrBxaE9UlI/lTf6snwgWOeJ74E4YaRh6K/img.png)
깃허브 핵심 쏙쏙 Git - 2주차 정리 핵심 쏙쏙 Git 2주차 정리에 접어들었다. 이번주는 팀 협업에 필수적인 기능들 위주로 학습했다. 지난주 강의를 들었을때 콘솔로 작업하는 깃관리가 편하다고 했었는데, 이번주차를 진행하면서 생각이 좀 달라졌다. 콘솔로 다뤄야만 하는 에러만 아니라면, 소스트리를 통해 작업하는 것도 장점이 크다. GUI(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의 장점덕에 시각적으로 내 깃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 덕에 실수가 적다, 체계적 관리가 더 간편하다. 등등이 대표적이다. 이번주는 Issue에 대해서도 배웠는데 , 이 부분은 팀협업에 필수적 기능이라 생각됐다. 아래는 배우자마자 써먹어본 이슈! itsstacy님이 도와줬다. ㅎㅎ 다음엔 이슈번호에 따라서 알아서 커밋을 잡아주는 기능도 같..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t8PVB/btrBquFgMqH/8KeY5LjNwCgS6VXyWvpoFK/img.png)
5/6 웹개발 종합반에 이어서, 핵심 쏙쏙 Git 수강을 시작했다. 깃허브란 , 분산버전 관리 툴인 깃 저장소 호스팅을 지원하는 웹서비스이다. 1주차 학습목표 나 혼자 사용할 수 있는 Git 프로젝트를 만들어 본다 - commit, pull, push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마음가짐을 탑재한다. ------------ 1주차에서는 크게 깃의 기초와, 여러가지 관련된 개념 + 간단한 실습을 했다. 실습을 하면서 소스트리(sourceTree)를 배웠는데, 깃을 콘솔로 다루는 것에 많이 익숙한 나에겐 다소 어려웠다. 특히 에러가 떴을 때, 코드 입력하는 부분이 없어서 꽤 불편하다고 느껴지기도 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장점과 단점이 있는듯! 깃은 사실 개발을 하는 사람들에겐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툴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