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43)
개발자의 logs
https://heoseongh.github.io/gitblog/jekyll-error/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dm6LLN/btrI3xUxYqU/z7HGC91W3mLFq9zEyjIwQ0/img.png)
실전 프로젝트 주차가 끝났다. 우리조는 아직 달리고 있지만 official한 주차는 공식적으로 끝났다. 현재는 README 작성 및 이력서 작성 주차에 진입하였다. 이번 WIL은 실전 프로젝트 과정을 총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우리팀에서 내가 썼던 기술들을 나열해보겠다! 가자! 내가 담당했었던 기술 들을 쭉 나열해보자면, 1. Oauth2 (소셜로그인) 2. Nginx 3. Docker 4. GitAction 5. TDD 6. AWS EC2 7. Multer-s3 등이 있다. 먼저 Oauth2 ! 귀찮은 회원가입 절차를 간소화하고 유저들의 접근성을 쉽게하기위한 라이브러리다. 음.. 쉽지않았다. 에러도 많이 터지고, 특히 마지막 프론트쪽 도메인 연결이후로 문제가 많이 터졌다. 전시회 때 우리 서비스..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pDFS/btrIYCP9klB/w3VXVUXNtHRBrUCdzaZY4k/img.jpg)
오늘 드디어 최종 발표를 했다. 우리조는 결국~~.. 프로덕트를 완성시키지 못했다. 패인은 무엇이였을까? 무엇을 보완했다면 완성 할 수 있었을까? 정말 모든 탓을 단순히 인원수가 적어서로 돌리는 건 아닌거같다.ㅎ 우리는 1-2주는 더 계속 달려야 할 것 같다. 우리 조원들 모두 수고했어요 오늘은 푹 쉬시길!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1X0yL/btrIPVPhgvp/LhqTyUq8f8mN894qfskDJ1/img.png)
마지막 당일 오전 2시 25분. 원래 이시간에 30명씩 있었는데 막바지라 그런지 우리조 밖에 없다. 오늘 7시 최종제출이다. 그다음날은 최종 발표날!! Keep going! (참고로 코로나걸림.. 집에서 택배만 받는데 코로나 걸리기있기냐..ㅠ)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pQanU/btrIyYGeibw/a4NciRl1nWZ6Zmy4LDj9Ek/img.png)
(살려줘....) 12주차 WIL ! 항해99 시작할 때 쯤에 절대 포기는 안할건 알고 있었지만, 거의 다 와감을 느낀다.ㅎㅎ 이번주는 지난주에 이어서 TDD를 마무리하고, 인프라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사실 인프라 part는 틈새틈새 했었다. 그때마다 좌절을 맛봤고.. 난 알고리즘을 짜는거나, 코딩을 무진장 잘한다고는 생각을 안하고 있던 사람인데, 인프라파트를 하면서 난 인프라보단 코딩쪽을 훨씬 잘하구나를 매순간 느꼈다. 인프라에는 1. Git Action 2. Docker 3. Nginx 라는 삼대장들이 있다. 물론 더 나아간다면 Git Action보다는 Jenkins를 쓰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참고로 travi라는 것도 있다. 난 처음엔 Git Action을 활용해서 자동배포까지 하려고 했다. 즉..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Mlva/btrH75xkMRG/6l8gkKRkPbGUF7Qzr26O0K/img.jpg)
좋은아침! 이제 11주차 WIL이다 . 생각보다 항해99에서 WIL을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느끼게 된다 실전프로젝트 상황에 대해 얘기하자면, 이번주 금요일이 프로덕트 출시날인데 아직 출시한 조는 없는 걸로 알고있다. 역시 완제품을 만들기란 생각보다 어려운게 아닐까 생각이 든다 ㅎㅎ 일당백 1조는 여전히 스스로를 불태워 속도를 내고있다. 잡담시간도 우리에게는 사치! 백엔드 2명(나포함) 프론트가 요청하는 추가적인 기능개발을 하면서 리팩토링, 주석달기를 진행했었다. 현재는 TDD 파트에 들어와있다. TDD는 통합테스트만 완료한 상태였었다. 그리고 사실 전 기수들것들을 보니 TDD에 생각보다 집중하지 않은 것처럼 보여서 넣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 담당 매니저 *구름*님의 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