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43)
개발자의 logs
https://developoerty.tistory.com/115 MAC VSCODE 파일생성 권한 오류 진짜 갸 빡 친 다 맥북 파일 생성이 안돼 폴더에서 권한 설정 다 해도 안돼 터미널에서 sudo chmod -R 777 ~/Desktop/taejijn/development/nestblog 이런식으로 해주니까 됐다. 어휴 참고 레퍼런스 https://ankitm.. developoerty.tistory.com sudo chmod -R 777 ~/Desktop/hi-nest 바로 해결되버렸다. sudo -s 조심히 써야겠다
# 땅 위에 달팽이가 있다. 이 달팽이는 높이가 V미터인 나무 막대를 올라갈 것이다. # 달팽이는 낮에 A미터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밤에 잠을 자는 동안 B미터 미끄러진다. 또,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다. # 달팽이가 나무 막대를 모두 올라가려면, 며칠이 걸리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acmicpc.net/problem/2869 import sys import math a,b,v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day = (v-b)/(a-b) #day = (v - b) / (a - b) 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정상에 한번 도달하면 밤에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고려해 준것이다. print(math.ceil(day)) 달팽이는 하루에 A-B ..
import math T = int(input()) for _ in range(T): x, y = map(int, input().split()) diff = int(y - x) if diff https://www.acmicpc.net/problem/1011 1011번: Fly me to the Alpha Centauri 우현이는 어린 시절, 지구 외의 다른 행성에서도 인류들.. wlstyql.tistory.com
//index.js const app = require('express')(); const http = require('http').Server(app); const io = require('socket.io')(http); const port = process.env.PORT || 3000; app.get('/', (req, res) => { res.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io.on('connection', (socket) => { socket.on('chat message', (msg) => { io.emit('chat message', msg); }); }); http.listen(port, () => { console.log(`Socket.IO s..
// config/passport.js const dotenv = require('dotenv'); // 설정파일 dotenv.config(); const GUser = require('../schemas/googleUser'); var passport = require('passport'); var GoogleStrategy = require('passport-google-oauth2').Strategy; passport.serializeUser(function (user, done) { done(null, user); }); passport.deserializeUser(function (user, done) { done(null, user); }); passport.use( new GoogleStra..
![](http://i1.daumcdn.net/thumb/C200x200/?fname=https://blog.kakaocdn.net/dn/yVFM6/btrFHI0uKyw/KGH5tQMMxl9Zc4ZHMxSOY1/img.jpg)
클론 프로젝트 주차가 끝나고, 드디어 실전 주차가 시작됐다. 클론 프로젝트 때는 우리조가 가장 많은 기능을 넣은 조가 됐다. 프론트와 백엔드가 열심히 소통하고 협업하며 얻은 결과라고 생각된다. 클론프로젝트 때는 생각보다 프론트엔드 측과 백엔드 측의 보이지 않는 밀당(?)이 있던 주차였는데, 회의 진행중에 어려움이 많았다. 나는 주로 나서서 해결하고자 하는 편이고, 총대를 매기를 자처하는 편이라 프론트측과 소통하는 순간이 잦았다. 소통하면서 백엔드 측의 의견을 전달하고, 프론트 측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양측의 의견을 조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했다. 다행히 소통이 잘되었고 결과도 어떤 조보다 뛰어났다고 생각한다. 물론 아쉬운 점은 있었지만. 인터넷에서 개발자에 관한 글을 보다보면 뛰어난 개발자가 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