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logs
항해99 CS 스터디 -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 본문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1380986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
복잡한 IT 세상을 선명하게 읽는 디지털 문해력 기르기 챌린지IT 지식은 분명 복잡하지만 인생처럼 혼잡하지는 않다.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면 막연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디지털 지구가 제시하는
book.naver.com
이 글은 1일 1로그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전화부터 와이파이까지,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
일상에서 접하는 네트워크 기술은 전화, 케이블, 이더넷 같은 전통적인 유선 네트워크,
그리고 와이파이와 휴대전화가 대표적인 사례인 무선 네트워크가 있다.
모든 통신 시스템은 기본적인 속성을 공유한다.
보내는 쪽에서는 정보를 매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표현으로 변환한다.
받는 쪽에서는 그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다시 변환한다.
대역폭(bandwidth)은 모든 네트워크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전송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대역폭의 범위는 초당 몇 비트부터 초당 몇 테라비트까지 다양하다.
대역폭이 충분하면 데이터가 빠르고, 그렇지 않다면 통신이 멈추거나 속도가 저하된다.
레이턴시 또는 지연은 일정한 단위의 정보가 시스템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값이다.
레이턴시가 높다고 반드시 대역폭이 낮음을 의미하진 않는다.
지터(jitter)는 지연의 변동성을 뜻하며 일부 통신 시스템에서는 중요한 속성이다. 특히 음성과 비디오를 다루는 시스템에서 그렇다.
범위(range)는 주어진 기술로 네트워크가 지리적으로 얼마나 확장될 수 있는지를 정의한다.
네트워크 속성으로써 어떤 방식을 취할지 고려해야할 요소 중에는
라디오처럼 여러 수신자가 한 발신자의 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인 브로드 캐스트 방식,
특정 발신자와 수신자를 짝지어 주는 점대점 방식 등이 있다.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는 본질적으로 도청 가능성이 높아 보안에 취약하다.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오류가 발생하고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 신경써야 한다.
네트워크에서 고려해야 할 기타 요인으로는 하드웨어, 인프라비용, 전송 데이터 양 등이 있다.
'개발 공부지식 >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스터디 - 근거리 네트워크 이더넷 (0) | 2022.06.14 |
---|---|
항해99 CS 스터디 - 모뎀 (0) | 2022.06.13 |
항해 99 CS 스터디 -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0) | 2022.06.04 |
항해 99 CS 스터디 - 기술 표준의 중요성 (0) | 2022.06.04 |
gRPC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서버 프로그램은 API 서버인가? (0) | 2022.06.02 |